Written by 안재우(Jaewoo Ahn), 닷넷엑스퍼트(.netXpert) 오늘은 보시다시피 약간 위험한(?) 제목의 포스트를 쓰게 되었습니다. 우선 제목만 보고 너무 섣불리 단정지으시는 분들이 없으시길 빕니다. 그리고 제 의견이 절대 '정답'이나 '진리'는 아니며, 제 의견과 다른 의견을 가지신 분들 역시 얼마든지 계실 수 있습니다. 그럴 경우, 소모적인 논쟁보다는 건설적인 토론을 했으면 한다는 것을 노파심에 얘기해둡니다. 최근 사용 중인 개발 프레임워크의 업그레이드 진단을 요청받아, 분석을 해본 것이 여러 건 있었습니다. 이 프레임워크들은 저희 회사가 개발한 것이 아니었으며, 다른 회사들에서 개발한 것이었습니다. .NET으로 이런저런 프로젝트들을 해보셨을 분들은 한번쯤은 이 회사들의 프레임워크..
아래는 COM+ 구조에 대한 이런 저런 것들을 언급한 것입니다. 실무에서 사용하는 COM+는 주로 엔터프라이즈 개발 아키텍쳐의 미들티어로서 주로 트랜잭션 작업 처리를 위한 목적이 강하다. 물론 지금도 해당하는 거지만, .NET 1.1 까지는 거의 MS로 하는 엔터프라이즈 개발에서 WEB(ASP.NET) - (WEB SERVICE ) - COM+(BSL/DSL) - (SP)DB 라는 부동의 엔터프라이즈 개발 아케텍쳐를 위한 공식이 통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이 COM+는 결국 COM 기반이므로 .NET 관점에서 보면 Unmanaged 환경이다. 그래서 .NET 어셈블리(Managed)를 COM+ 컴포넌트화 시키는 것은 Managed 코드를 Unmanaged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Wrapping 하는..
- Total
- Today
- Yesterday
- jstl(java standard tag library)
- nl2br
- jstl(java standard tag library)-core
-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
- .submit()
- 표현 언어(expression language)
- java web-mvc
- await
- System.Diagnostics
- jsp 오픈 소스
- java.sql
- 특정 문자를 기준으로 자르기
- MainActor
- error-java
- 인텔리제이(intellij)
- 메이븐(maven)
- In App Purchase
- java 키워드 정리
-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dk)
- 람다식(lambda expression)
- 제품 등록
- 스프링 시큐리티(spring security)-http basic 인증
- React
- REST API
- system.io
- 진수 변환
- java-개발 환경 설정하기
- 문자 자르기
- docker
- 스프링 시큐리티(spring securit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