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아스키 코드 : SBCS(Single Byte Character Set)
 영문 1Byte, 한글 2Byte로 간주함.
 아스키 코드라는 명칭 보다는 "싱글 바이트 문자 셋"으로 표기하는게 낫지 않을까 싶다.

유니 코드 : 
WBCS(Wide Byte Character Set) 
 모든 문자를 1Byte로 간주함.
 유니 코드라는 명칭 보다는 "와이드 바이트 문자 셋"으로 표기하는게 낫지 않을까 싶다.

멀티 바이트 문자셋 : 
MBCS(Multi Byte Character Set)
 상황에 따라 문자를  1Byte 혹은 2~8Byte로 간주한다.

"name장정훈"이라는 문자열이 있으면
싱글 바이트 문자 셋    = 
1Byte+1Byte+1Byte+1Byte+2Byte+2Byte+2Byte = 10Byte 
와이드 바이트 문자 셋 = 1Byte+
1Byte+1Byte+1Byte+1Byte+1Byte+1Byte = 7Byte
멀티 바이트 문자셋     = 1Byte+1Byte
+1Byte+1Byte+2Byte+2Byte+2Byte  = 10Byte


결론]
 싱글 바이트 문자 셋으로 표현할 수 없는 언어를 표현하기 위해
 와이드 바이트 문자 셋과 멀티 바이트 문자 셋을 만들었지만
 와이드 바이트 문자 셋과 멀티 바이트 문자 셋은 동작방식이 서로 다른다는 것이다.! 
 
 또한

국제 시장을 대상으로 프로그래밍할 경우 유니코드와 MBCS 중 하나를 사용하거나 스위치를 변경하여 둘 중 하나로 빌드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활성화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