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아래는 Next.js 내부 API 라우트와 외부 API 호출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다이어그램입니다.


📌 클라이언트(사용자)에서 요청이 발생하면, 내부 API가 요청을 처리한 후 외부 API와 통신하는 방식

[사용자 액션]
    ⬇️  
1️⃣ 페이지(TodoPage.tsx)에서 GET, POST, DELETE 요청 발생
    ⬇️  
2️⃣ 내부 API (/api/todos)에서 요청을 처리하고 인증 및 캐싱 수행
    ⬇️  
3️⃣ 내부 API에서 외부 API (https://newallsoft.shop/api/todos)로 실제 요청 전달
    ⬇️  
4️⃣ 외부 API가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 반환
    ⬇️  
5️⃣ 내부 API에서 응답을 받아 클라이언트에 반환
    ⬇️  
6️⃣ 클라이언트 UI에서 데이터를 업데이트

───────────────────────────────────────

💻 [클라이언트 (브라우저)]
      |  
      |-- GET --------------->  🖥️  [Next.js 내부 API]  (/api/todos)
      |                           |  
      |                           |-- GET ------------------> 🌍  [외부 API]  (https://newallsoft.shop/api/todos)
      |                           |                           |
      |                           |                           |--- 응답 --->
      |                           |  
      |<-- 응답 ------------------
      |
      |-- POST --------------->  🖥️  [Next.js 내부 API]  (/api/todos)
      |                           |  
      |                           |-- POST -----------------> 🌍  [외부 API]  (https://newallsoft.shop/api/todos)
      |                           |                           |
      |                           |                           |--- 응답 --->
      |                           |  
      |<-- 응답 ------------------
      |
      |-- DELETE ------------->  🖥️  [Next.js 내부 API]  (/api/todos?id=1)
                                  |  
                                  |-- DELETE --------------> 🌍  [외부 API]  (https://newallsoft.shop/api/todos?id=1)
                                  |                           |
                                  |                           |--- 응답 --->
                                  |  
                                <--- 응답 ------------------

정리

  1. 클라이언트 (사용자) → Next.js 내부 API (/api/todos)로 요청 보냄
  2. Next.js 내부 API (route.ts) → 요청을 검증하고, 외부 API (https://newallsoft.shop/api/todos)로 요청을 전달
  3. 외부 API → 실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조회/생성/삭제하고 응답 반환
  4. Next.js 내부 API → 외부 API 응답을 받아 클라이언트로 반환
  5. 클라이언트 (React 컴포넌트) → 응답을 받아 UI를 업데이트

이러한 방식은 보안 강화 (API 키 보호), 캐싱 가능, 백엔드 로직 추가 가능 등의 장점이 있지만, 요청이 두 번 발생하는 부담이 있습니다.

만약 내부 API를 생략하고 직접 외부 API를 호출하면 성능은 더 좋아질 수 있지만, 보안 및 캐싱 관리가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내부 API를 두는 방식이 보안이 중요한 프로젝트에서는 일반적으로 더 선호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