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1. 캡슐화 강화
    • 외부에서 직접 필드에 접근하여 값을 변경하는 것을 막고, 엔티티 내부의 메서드를 통해서만 상태가 변경되도록 합니다.
    • 이를 통해 객체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잘못된 값이나 상태로의 변경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2. 비즈니스 로직 통합
    • 수정 메서드 내부에 유효성 검사, 이벤트 발행, 로깅 등 부가적인 로직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단순히 값을 대입하는 것이 아니라, 도메인 규칙에 따라 상태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강제할 수 있습니다.
  3. 의도 명확화
    • setTitle 같은 단순 setter 대신 updatePost(String title, String content)와 같이 메서드를 명명하면, 해당 메서드가 엔티티의 상태를 변경하는 명확한 의도를 표현합니다.
    • 이는 코드를 읽는 개발자에게 엔티티의 변경 방법과 의미를 보다 쉽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4. 불변성과 변경 관리
    • 엔티티의 불변성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부분만 변경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습니다.
    • 엔티티의 특정 필드(예: 생성일, ID 등)는 외부에서 수정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변경이 필요한 필드만 선택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5. 도메인 주도 설계(DDD)의 원칙 준수
    • DDD에서는 도메인 모델이 자신의 상태와 행위를 책임지는 것을 권장합니다.
    • 엔티티 내부에 변경 로직을 포함함으로써, 객체 자신이 자신의 상태를 관리하고 변경하도록 하는 객체 지향적 설계 원칙을 따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엔티티 내부에 수정 전용 메서드를 구현하는 방식은 코드의 안정성, 가독성, 유지보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좋은 접근 방식입니다.

728x90
반응형